|
 |
자유게시판 |
|
2015년 11월 14일 (안) 성경적 침례
|
|
선교부
작성일 : 15-11-07 22:50
조회 : 1,960회
|
|
“침례는 가장 엄숙하게 세상을 버리는 일이다. 바로 그리스도인의 생애를 시작하
면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세 이름으로 침례를 받는 자들은 사단을 섬기는 일을
버리고 왕의 가족 곧 하늘 왕의 자녀가 되었다는 것을 공적으로 선언하는 것이다.
그들은, “너희는 저희 중에서 나와서 따로 있고 부정한 것을 만지지 말라”는 명령
에 순종했다. 그리고 그들에게는 “내가 너희를 영접하여 너희에게 아버지가 되고
너희는 내게 자녀가 되리라 전능하신 주의 말씀이니라”(고후 6:17, 18)는 약속이 성
취된다.” (교회증언 6권, 91)
가르침, 회개 그리고 침례
1. 침례 요한은 사람들에게 침례를 주는 사명을 누구로부터 받았는가? 그가 요단강에
서 누군가에게 침례주기전에 무엇이 필요하였는가? 요 1:33; 막 1:4-5.
.................................................................................................................................................................
.................................................................................................................................................................
.................................................................................................................................................................
.................................................................................................................................................................
.................................................................................................................................................................
.................................................................................................................................................................
“요한의 목적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하고 자극하여 자신들의 큰 악행 때문에 두려워
떨도록 하기 위한것이었다. 단순하고 명백하게 그는 사람들의 오류와 범죄를 지적했다.
능력이 그의 말을 수반하였고 사람들은 자신들의 거룩하지 않은 삶을 버리라는것을 들을때
달갑지 않았지만 그의 말을 저항할 수 없었다. 그는 아무에게도 아첨하지 않았고 아무에게도
아첨을 받지 않았다. 사람들은 만장 일치로 하듯이 회개하며 그에게 왔고 자신들의 죄를
고백하고 요단강에서 침례를 받았다.” (예언의 신 2권, 48)
2. 예수께서 제자들과 모든 시대의 그분의 교회에 주신 사명에는 무엇이 포함되어있
는가? 침례요한의 사명에서처럼 침례전에 무엇이 앞서는가? 마 28:18-20.
.................................................................................................................................................................
.................................................................................................................................................................
.................................................................................................................................................................
.................................................................................................................................................................
.................................................................................................................................................................
“복음 전도 사명은 그리스도의 왕국의 대선교 헌장이다. 제자들은 영혼들을 위하여 열심히
일하고, 만민에게 은혜의 초청을 전해야 하였다. 그들은 사람들이 찾아오기를 기다리지 말고,
기별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나아가야 하였다.” (사도행적, 28)
“침례를 받기 위한 준비는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 문제이다. 새로 믿기로 작정한
구도자들은 분명한 성경 말씀에 대하여 충실히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주님의 말씀을
읽어줘야 하고 저들에게 낱낱이 설명해 주어야 한다.” (복음전도, 308)
믿음, 이전 사람의 죽음, 그리고 새 삶
3. 하나님과 언약을 맺는 중요부분은 무엇인가? 에디오피아 내시의 경험은 예수 그리
스도를 하나님의 아들이라는것을 믿는것이 침례에 필요조건이라는것을 어떻게 보여주
는가? 막 16:15-16; 행 8:36-38.
.................................................................................................................................................................
.................................................................................................................................................................
.................................................................................................................................................................
.................................................................................................................................................................
.................................................................................................................................................................
“어디에나 침례를 받는 조건으로 회개와 믿음이 요구되고 있다” (각 시대의 대쟁투, 238, 239)
“회심의 단계를 간단 명료하게 말하자면 회개요, 세상의 구주로서 그리스도를 믿음이요,
침례에서 나타났듯이 그리스도의 죽으심, 장사, 부활, 그리고 죄인을 위하여 탄원하시려고
승천하셨음을 믿는 믿음이다.” (그리스도를 높이라, 79)
“회개와 믿음과 침례는 회개의 필수적 계단들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엄숙한 침례를 받게 될 때 주님께서는 저들이 당신께 진실하겠다고 약속하는 서원을 기록하신다. 이 서원은
저들의 충성을 다짐하는 서약이다.” (믿음으로 살리라, 145)
4. 사람은 침례전에 무엇을 경험하는가? 그리스도께서 죽음에서 일어나셨듯이 그분
의 죽음에 합하여 침례를 받는 신자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롬 6:3-6, 11; 골
2:12.
.................................................................................................................................................................
.................................................................................................................................................................
.................................................................................................................................................................
.................................................................................................................................................................
.................................................................................................................................................................
“새 생명으로 동행하기 위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한 자들은 하나님의 선민이다. 그들은
주께 거룩하며 당신의 사랑하시는 자처럼 그분이 인정하실 것이다. 이처럼 그들은 마음의
겸비함을 보여 줌으로 그들 자신을 구별해 줄 엄숙한 언약아래 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을
의의 옷으로 걸치려고 한다. 그들은 세상으로부터, 세상의 정신으로부터, 그 습관으로부터
나와서 그들이 예수께로부터 배우고 있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 만일 그들이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침례의 서약을 지킨다면 세상은 그리스도를 부인하고 그들을 끌어당길 힘이 없을
것이다. 만일 그들이 이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생애를 산다면 그들은 신성의 참예자들이
된다.” (하나님의 하나님의 아들과 딸들, 133)
물에 잠기는 침례와 재침례
5. 성경은 얼마나 많은 종류의 침례를 보여주는가? 사도시대에는 이 의식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엡 4:4-5; 롬 6:4; 마 3:16.
.................................................................................................................................................................
.................................................................................................................................................................
.................................................................................................................................................................
.................................................................................................................................................................
.................................................................................................................................................................
“나는 침례 문제에 대하여 숙고하였다. 내가 비록 어렸지만, 성경에 승인된 침례 방식은 단
한 가지 곧 물에 잠그는 방식 뿐임을 알 수 있었다. 감리교인인 나의 자매들이, 세례가 성경상
침례 라고 설득시키려고 애썼지만 허사였다. 감리교회 목사님은, 세례도 하나님께 똑같이
가납될 만한 것이라고 말하면서도, 만일 침례 후보자들이 양심적으로 물에 잠기는 방식을
원한다면 그렇게 베풀어 주겠다고 동의하였다.” (엘렌 G. 화잇 자서전, 25)
6. 사도행전에는 재침례의 어떤 예를 보여주는가? 다른 단체에서 오는 사람들이 예
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진리의 더 완전한 지식에 올때 이 예는 어떻게 적용되는가? 행
19:1-5.
.................................................................................................................................................................
.................................................................................................................................................................
.................................................................................................................................................................
.................................................................................................................................................................
.................................................................................................................................................................
“이 유대인 개종자들의 경험 가운데는 여전히 우리를 위한 다른 교훈이 있다. 그들은
요한의 손에 침례를 받았을 때, 죄를 담당하시는 분으로서 예수님의 사명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다. 그들은 중대한 오류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더 밝은 빛으로 그리스도를
그들의 구주로 기쁘게 영접하였으며, 이 진보의 단계와 더불어 그들의 의무에 변화가 이르러
왔다.
그들이 더 순전한 신앙을 받게 되었을 때 그들의 생애에는 그에 상응하는 변화가 있었다.
이같은 변화의 증거를 보이는 가운데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인정하는 표로서
그들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재침례를 받았다.” (사도행적, 285)
침례와 성령의 선물
7. 침례가 믿음, 회개, 개심을 따를때 어떤 큰 선물이 침례와 연결되어 있는가? 요
3:5; 마 3:11; 행 2:38.
.................................................................................................................................................................
.................................................................................................................................................................
.................................................................................................................................................................
.................................................................................................................................................................
“나는 모든 도시에있는 교인들이 성령의 침례를 위해 결연한 노력으로 주님을 붙잡기를
간청한다. 사단은 잠들고 있지 않는다는것을 확신하라.
이 사업을 전진시키는 자들의 길에
사단은 가능한 모든 장애물을 배치할것이다. 너무 자주 이러한 장애물이 극복 할 수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모두가 이제 전적으로 진정으로 회심하고, 현명하게 믿음으로 이 사업을
붙잡도록 하라.”
(건강에 관한 권면, 548)
“우리는 성령의 침례를 받을 필요가 있다.” (복음 전도, 558)
“지금 더 많은 회심이 없는 한 가지 이유는 그대 자신들이 회심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대들이 성령의 침례를 받자마자 그대들은 하나님의 구원을 보게 될 것이다.”
(부모에게 보내는 베드로의 권면, 34)
더 연구하려면
마 3:5-6, 11
.................................................................................................................................................................
.................................................................................................................................................................
.................................................................................................................................................................
.................................................................................................................................................................
.................................................................................................................................................................
“중생의 길에 들어선 모든 자들은 침례를 받기 전에 주님께서 일편단심의 애정을
요구하신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 물론 진리를 실천하는 일이 가장 긴요하다. 열매의 결실은 그 나무의 특성을 나타낸다. 좋은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을 수 없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계명들을 지키는 자들과 주님을 사랑하지 않고 그분의 교훈들을 무시하는
자들 사이에 있는 경계선은 분명하고 뚜렷해야 할 것이다. 진리에 대한 철저한 회심이
필요하다.” (복음 전도, 308)
|
|
|
|
|